Doodle Doodle

웹, 앱 개발 방식 종류

  • -
728x90

웹 기반 서비스는 우리가 인텅넷을 할 때 흔히 사용하는 크롬, 인터넷 익스플로러, 사파리, 파이어폭스 등의 웹 브라우저를 통해 이용하는 것을 말한다. 서버에 저장되기 때문에 운영체제에 따라 달라지지 않지만, 브라우저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HTML, CSS, Javascript 등을 활용하여 제작한다.

반응형 웹 / 적응형 웹

반응형 웹은 1개의 웹사이트에 명령어를 입력하여 브라우저의 크기에 맞게 홈페이지의 크기가 변경되는 방식이다. 간단한 유지보수는 적응형에 비해 매우 편리하며, 1개의 웹사이트만 사용하기 떄문에 1번만 수정해주면 된다.

적응형 웹은 PC 웹사이트와 모바일 웹 사이트를 따로 제작하는 방식이다. 2개 혹은 태블릿 PC까지 3개의 홈페이지를 따로 만들다 보니 홈페이지를 수정할 때 모두 수정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웹 앱

모바일 웹이라고 혼동할 수 있지만, 웹앱과 모바일 웹은 차이가 있다. 모바일 웹은 단순히 PC상에서 보이는 브라우저 창을 모바일에 맞게 줄여놓은 것이라면, 웹 앱은 PC가 아닌 모바일을 기준으로 하여 모바일에 중점을 두고 개발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더 모바일에 최적화시킨 것이 웹앱이다. 모바일 웹의 풀 브라우저 방식에서 웹앱의 단일 페이지 방식을 사용하여 속도를 높였다.

모바일 웹과의 차이점은 많지 않지만, 겉으로 보이는 모습이나 구동방식은 앱처럼 보이도록 만들어둔 것이기 때문에 모바일로 사이트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더욱 익숙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겉모습만 앱일 뿐 브라우저를 통해 들어가는 웹 이기 떄문에 사용자가 검색과 URL등을 통해 들어와야 하고, 모바일 운영체제에서 제공하는 기능들을 활용할 수 없다는 단점도 가지고 있다.

모바일 웹

데스크탑 브라우저에 실행되는 웹 애플리케이션을 모바일 스크린 크기로 줄여 놓은 것을 말한다. 스마트폰에 내장된 웹 브라우저를 통해 접속하는 형태로, 일반적인 웹 기술로 개발할 수 있다. 하지만 단말기의 화면을 고려하여 제작해야 하며 앱에 비해 접속 속도가 느리다.

네이티브 앱

디바이스가 지원하는 스토어 앱을 다운로드하여야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각 스토어에 올라와 있는 앱은 해당 운영체제에 최적화되어있는 개발도구로 제작되기 때문에 높은 퍼포먼스를 낼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PC에서 접속이 불가능하며, 매번 스토어에서 업데이트를 해줘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네이티브 앱은 유저가 사용하기에 가장 편하고 빠르며 디자인 측면에서도 웹이나 하이브리드 앱이 도달하기 힘든 수준을 쉽게 만들 수 있다.

하이브리드 앱

네이티브 앱과 웹 앱의 장점만을 모으고 단점은 보완한 형태의 앱이다. 네이티브 앱처럼 별도의 아이콘이 있고, 전화나 카메라 등의 권한을 가져가 사용할 수 있다. 겉으로 보기에는 앱이지만, 실제로는 웹 기반으로 앱의 기능을 차용한 형태이다. 예를 들어 하이브리드 앱의 예시로 네이버와 같은 경우, 네이버 앱을 깔아서 실행해보면 웹브라우저로 네이버에 접속한 것과 차이가 없어 보인다. 하지만, QR코드리더, 음성인식과 같은 일부 기능은 오로지 앱에서만 지원되는 형태를 띠고 있다.

앱 기반이 되는 콘텐츠 영역은 HTML 기반의 웹 앱으로 개발을 한 이후, 최종 앱 배포에 필요한 패키징 처리만 아이폰, 안드로이드 플랫폼 안에서 처리한 애플리케이션이다. 즉, 내부의 웹 앱을 외부를 네이티브 앱으로 둘러싸고 있는 형태이다. 즉, 주요 화면 부분은 웹 앱의 특성을 살려서 구현하고, 네이티브 앱의 특성을 살려서 하드웨어 접근이 가능하도록 만들어진 형태이다.

https://6u2ni.tistory.com/25

728x90
300x250
Contents

포스팅 주소를 복사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공감 부탁드립니다.